본문 바로가기
방통대/데이터정보처리

4-2 연속형자료의 그래프

by 꿈꾸는 몽나 2024. 3. 12.
728x90

 

연속형자료 그래프 : 히스토그램

-히스토그램 : 연속인 자료를 일정한 계급으로 나누어 각 계급에 속한 도수들을 정리한 도수분포표를 이용하여 작성한 그래프

-히스토그램은 연속인 자료의 분포를 살펴볼 때 이용되는 그래프로서 많은 양의 자료에 적합

 

 

// a = rnorm(2000)

// hist(a, col="RED")

 

 

 

연속형자료 그래프 : 줄기-잎 그림

-기-잎 그림 : 분표의 대략적인 형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작성되는 그래프로 군집의 존재여부, 집중도가 높은 구간, 대칭성의 여부, 자료의 범위 및 산포, 특이 값의 존재 여부 등을 파악하는데 이용됨

 

 

 

// 줄기 | 잎

 

// 잎이 0~4, 5~9로 나뉘어 출력된다.

 

 

연속형자료 그래프 : 상자그림(1)

-다섯숫자요약 : 최소값, 최대값, 중앙값, 제1사분위수, 제3사분위수)

-상자그림 : 다섯숫자요약을 특이값과 함께 그래프로 표현한 것으로서 분포의 상태, 특이값의 유무, 여러 집단의 수치자료를 비교하고자할 때 유용하게 이용됨.

 

-상자그림을 그리는 방법

1. 다섯숫자요약을 구한다.

2. 제1사분위수, 제3사분위수에 해당하는 수직선상의 위치에 네모 상자의 양 끝이 오게하고 상자 내의 중앙값에 해당되는 위치에 가로지르는 막대 표시를 한다.

3. 안울타리 값을 구한다.

 

4. 안울타리의 안쪽에 있으면서 경계에 가장 가까운 인접값을 찾아 상자의 양끝을 연결한다.

5. 안울타리 바깥에 있는 자료점을 특이값으로 간주하고 "o" 또는 "*" 표시를 한다.

 

 

boxplot(sore) : 상자그림이 출력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