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주기억장치 주소와 데이터 저장
*좋은 기억소자 : 비트 당 가격이 저렴, 호출시간이 짧고,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전력의 소모가 적고, 비트 상태의 안정성이 좋아야한다. 주기억장치 주소와 데이터 저장 : 주기억장치의 각 바이트는 단일 주소를 갖는다. : 숫자, 영문자, 특수문자가 입력장치에서 읽혀 주기억장치로 보내지면, 비트의 형태로 바뀌어 기억된다. : 한 번 데이터가 수록되면 그 내용이 바뀔 때까지 남아 있게 된다. : 고급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 -> 기계어로 번역 ->주기억장치에 저장 ->처리기 전자회로가 해석하고 실행 기계어명령어의 형식 명령부 : 실행될 동작을 명시 오퍼랜드부: 레지스터명칭, 데이터 주소, 데이터의 길이 등 ex)
2024. 3. 6.
3-3 문자 데이터의 표현
// A는 영어의 첫번째 글자. 숫자와의 혼동을 피해 맨 앞에 1을 붙여준다. *6비트 : 64개(2의 6슨), 7비트 : 128개(2의 7슨), 8비트: 256개(2의 8슨) *ASCll : 미국 정보교환 표준코드로 개인용 컴퓨터 및 데이터 통신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 7비트 + 1비트(2의 8슨) *UNICODE : 16비트로 확장, 세계의 모든 언어들을 표현 UNICODE : 1991년 IBM, 마이크로소프트 등 유명 컴퓨터업체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개발한 16비트 인코딩 시스템 : 2의 16슨. 65,536개, 한글, 한자, 히브리어, 일본어, 그리스어의 대소문자 등과 같은 세계의 모든 언어들을 표현 : 세계의 모든 국가들이 국제적인 통신교류가 가능 : 언어의 한계없이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다.
2024. 3. 6.
3-1 처리장치
처리장치 - CPU와 주기억장치 - CPU : 제어장치와 레지스터, 산술논리연산장치 중앙처리장치(CPU) : 처리를 실행하는 전자회로, 레지스터가 들어 있다.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해석하고 명령어가 명시한 대로 계산하고 데이터를 이동시키며, 시스템의 입력과 출력을 제어 *산술논리연산장치 : 가감승제 및 논리명령(논리, 비교, Shift)을 수행하는 전자회로가 있다. *제어장치 : 컴퓨터시스템 전체를 지시 감독하며 조정. 입력과 출력제어, 연산 제어, 데이터 이동. *프로세서 레지스터 : 처리할 명령어 저장 *Microprocessor : 연산장치와 제어장치를 1개의 작은 실리콘칩에 집적시킨 처리장치 :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의 발달로 인터넷, 멀티미디어, 통신, 방송 등 모든 형태의 정보기술이 하나로 통..
2024. 3. 6.
1-3 컴퓨터 시스템과 데이터처리
컴퓨터시스템의 주요 구성장치(하드웨어) : 입력장치, 제어장치, 연산장치, 기억장치, 출력장치로 구성 컴퓨터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사람이 컴퓨터에게 작업을 지시하거나 하드웨어와 이용자 사이에서 이용자가 하드웨어를 의식하지 않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그램들의 집합 -응용소프트웨어 : 학사관리 프로그램, 급여관리 프로그램, 재고관리 프로그램 등 -시스템소프트웨어 : 운영체제, 컴파일러, 링커, 로더 등 -프로그램 : 컴퓨터를 실행시키기 위해서 차례대로 작성된 명령어들의 집합 데이터 : 정보로 추출되어지기 전의 가공되지 않은 것. 사실 및 개념 또는 명령을 사람이나 자동기계가 통신, 해석, 처리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표시한 것 정보 : 어떤 매개체에 의해 집대성되고 의미있는 것으로 처..
2024. 2. 21.
1-1 정보사회와 정보혁명
*19세기 산업혁명 : 증기기관의 발명에 의하여 산업과 사회의 제반 구조를 크게 변화시킴 *20세기 정보혁명 : 컴퓨터, 통신기술, 인터넷, 멀티미디어 등 뉴미디어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의하여 산업과 사회의 각 분야를 크게 변화시킴 -> 온누리(Pervasive) 컴퓨팅 환경, 유비쿼터스 시대 *4차 산업혁명 : 클라우스 슈바프, 2016 세계경제포럼에서 주장 :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3차원인쇄, 나노 기술, 생명공학, 모바일 -> 1차 : 증기기관, 2차 : 전기, 3차 : 컴퓨터
2024. 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