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지역변수4

[파이썬] 9강. 함수 연습 문제 문제1. 다음 중 반환값에 따른 함수의 종류를 구분할 때, 나머지와 다른 하나는? 1. print 2. input 3. format 4. int 정답 : 1 풀이 : print는 반환값이 없는 함수이고, input, format, int는 반환값이 있는 함수이다. 문제2.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는? temp, season = 27, "summer" season, temp = temp, season print(season) 1. 'summer' 2. 27 3. season 4. print 정답 : 2 풀이 : season과 temp의 값을 교환하기 때문에 season의 값은 27이다. 문제3.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는? x = 1 def updatex(): x = 2 x = x + 1 updatex() p.. 2024. 4. 18.
[파이썬] 9-2 함수의 확장 값의 전달 : 함수가 호출될 때, 값이 형식 매개변수에 전달. (변수가 전달되는 게 아님) -전달 순서 프로그램 공간 x의 1이라는 값을 inc 함수 공간 x에게 전달한다. x + 1로 x의 값은 2가 된다. 그 다음 다시 원래 프로그램 공간으로 들어와 원래 x의 값이었던 1이 출력된다. 예시) 출력 : 10, 50 변수의 스코프 : 프로그램에서 변수가 참조될 수 있는 영역 -전역변수 : 프로그램 전체 영역에서 접근 -지역변수 : 선언된 함수 내부에서만 접근 출력 : x의 값은 1, y의 값은 2 풀이 : y = x + 1에서 오류가 날 것이라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오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원래 프로그램 가장 베이스가 되는 프로그램에서의 변수는 그 내부에서 호출되는 모든 함수가 그 변수의 값을 들여다볼 .. 2024. 4. 18.
7-2 기억클래스 기억클래스 : 변수를 기억공간의 특정영역에 할당하는 방법 : 즉, 각 변수의 유효범위와 존속기간을 설정 -변수의 사용위치에 따라 : 지역변수, 전역변수 -변수의 존속기간에 따라 : 자동변수, 정적변수, 외부변수, 레지스터변수 -지역변수 : 특정 범위 내에서만 통용되는 변수 : 선언된 블록이나 함수 내에서만 사용 가능 : 함수에서 사용되는 매개 변수도 해당 - 전역변수 : 함수 밖이나 외부파일에서 선언되어 프로그램 전체에 걸쳐 사용될 수 있는 변수 * 지역변수와 전역변수의 유효범위 // 변수 x, y는 프로그램 전체에서 사용 가능한 전역변수(함수외부에서 선언됨) // 변수 m, n은 해당 함수 내에서만 사용 가능한 지역 변수 지역변수의 사용 예시) 출력) main i = 10 fcn1 i = 20 main.. 2024. 4. 1.
2-2-2 변수 선언 변수 선언 : 변수명과 변수가 가질 자료형을 지정하여 변수를 위한 기억공간을 할당하는 것 형식 : 자료형 변수명; 변수 선언 시 고려 사항 - 변수에 저장될 값의 크기(범위) : short int의 표현 범위는 -32768 ~ 32767. : 이 표현 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출력은 num1 = -32768, num2 = 32767로 출력이 잘못됨. -> 오류 발생 - 변수의 선언 위치 변수를 함수 외부에 선언한 경우 -> 전역변수로 선언, 프로그램 어디서나 사용 가능. 변수를 함수 내부에 선언한 예 -> int i;는지역 변수로 선언, main 함수 내에서만 사용 가능 -> int i, j;는 sub1 함수 내에서만 사용 가능, main함수 내의 변수 i와는 별개. : int a = 100;은 전역변수,.. 2024. 2. 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