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접근 저장장치란?
: 데이터의 위치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어 낼 수 있는 저장장치
: 대화식 처리를 위한 빠른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직접접근 저장장치가 필요함
: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반도체 저장장치 등
자기디스크 기억장치
-개요
: 자성체가 코팅된 원판 형태의 기록 매체 위에서 판독/기록 헤드를 움직여 원하는 위치에 접근하는 직접접근 저장장치
-플로피디스크
: 산화철로 코팅된 편평하고 둥근 플라스틱으로 구성됨
: 크기는 직경 8인치, 5.25인치, 3.5인치
: 소형 컴퓨터에서 휴대용 저장 매체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등올 대체되어 사용되지 않음
-하드디스크
: 1개의 회전축에 자성체가 코팅된 여러 개의 금속 디스크를 결합하여 고속 회전
: 액추에이터 암에 연결된 읽기, 쓰기 헤드가 각각의 기록면 위에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읽기, 쓰기를 함
: 구성품들을 밀봉함으로써 먼지나 이물질로 오염되지 않게하여 디스크 기록면과 헤드를 가깝게 유지하고 고속으로 정밀하게 동작할 수 있게 함
-> 하드디스크의 데이터 저장 구조
: 디스크 표면에는 여러 개의 원형 트랙이 배열되어 있음
: 각각의 트랙은 정해진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획인 섹터로 나뉨
: 동일 반경에 위치한 트랙의 집합을 실린더라고 함
-> 하드디스크의 성능
*탐색시간 : 헤드가 지정된 트랙으로 이동하는 시간
ex) 수 ms
*회전지연시간 : 디스크가 회전하여 데이터 위치가 헤드에 도달하는 시간으로, 디스크의 회전 속도에 따라 결정됨
ex) 디스크의 회전 속도 : 4,200 ~ 15,000 RPM
ex) 평균 회전지연시간 = 7.1 ~ 2 ms
*전송시간 : 주기억장치와 하드디스크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소비되는 시간
-고성능 디스크의 구성
-> 디스크 어레이
: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에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함
: 목적은 데이터 저장의 신뢰성을 높이고, 접근 성능 향상이다.
: RAID
'방통대 > 컴퓨터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5 반도체 기억장치 (0) | 2024.03.20 |
---|---|
5-4 광 디스크 (0) | 2024.03.20 |
5-2 자기테이프 기억장치 (0) | 2024.03.20 |
5-1 보조기억장치 개요 (0) | 2024.03.20 |
4강. 컴퓨터의 이해 - 컴퓨터의 입출력 (0) | 2024.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