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분석에서 그래프의 역할
: 데이터가 갖고 있는 정보를 요약하여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보여줌
-> 분석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음
: 잘못 표현된 그래프는 정보와 그 의미를 왜곡해서 전달 할 수 있음
-데이터 특성과 분석 목적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그래프 종류가 달라짐
-데이터에 알맞은 그래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함
-정량적 데이터이냐 정성적 데이터이냐에 따라 사용 가능한 그래프도 달라짐
원 그래프
: 전체에 대한 항목별 비율이나 백분율을 강조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됨
: 항목에 대한 상대적 비교가 쉬움
: 각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과 원 그래프에서의 면적의 비율을 같게 만든 그래프
-원 그래프를 그릴 때 참고할 사항들
: 그래프에 대한 간단한 제목 제시
: 외부 데이터를 이용하였다면 그 출처를 밝힐 것
: 원 그래프의 조각은 8개 조각보다 작게 할 것(작은 비율의 항목은 묶어서 '기타'로 처리)
: 특정 조각의 강조 : 나머지 부분과 분리, 어둡거나 밝은 색 또는 무늬 이용
-원 그래프의 작성 절차
사각형 그래프
: 원 그래프와 유사한 그래프로 집단별 차이를 살펴서 비교하는데 효과적임
: '세로 막대형', '가로 막대형' 중 선택
-막대형 그래프 작성 절차
막대 그래프
: 주로 질적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됨
: 수직 막대 그래프 -> 차트 종류에서 '세로 막대형' 선택
: 수평 막대 그래프 -> '가로 막대형' 선택
-막대 그래프 작성법
: 원 그래프 작성법과 유사하며, 차트마법사 대화상자에서 알맞은 차트 유형과 세부 모양을 결정하여 작성함
ex)
-막대 그래프의 활용 예
: 그룹간 비교,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파악에 적합
꺽은선 그래프
-시계열 데이터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측정치를 측정하여 얻은 데이터
ex) 대기 오염도, 주가 또는 환율 동향, 수출입 동향, 월별 판매량, 실업률 등
-꺾은선 그래프
: 시계열 데이터의 시간 흐름에 따른 경향 파악에 유용
: 차트 종류에서 '꺾은선형' 선택
*데이터 수집 간격이 일정하지 않거나 기간 구분이 없는 데이터의 추세나 변화는 '꺾은선형'보다는 '분산형'을 선택하여 그래프 작성
-꺾은선 그래프의 예
: 두 지역의 연도별 오염도를 쉽게 비교할 수 있고,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는데 효과적
-꺾은선 그래프를 작성할 때 주의할 사항
1) Y축의 눈금을 얼마나 세분하는가에 따라 그래프의 의미가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
2) X축의 시작점에 따라 그래프의 의미가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
* 시계열의 데이터에서 X축의 시작 시점을 무엇으로 정하는가에 따라서 그래프의 해석이 달라짐.
그래프는 효과적인 정보 전달도 가능하지만, 어떻게 작성했는가에 따라 왜곡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음.
예제1)
삽입 -> 차트 -> 모든 차트에서 원하는 차트 선택
마우스 오른쪽 클릭 -> 데이터 레이블 서식을 통해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예제2)
'방통대 > 데이터정보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정보처리] 9-1 도수분포표 (0) | 2024.04.16 |
---|---|
[데이터정보처리] 8강. 엑셀을 이용한 그래프 그리기(1) 연습 문제 (0) | 2024.04.09 |
7강. 데이터정보처리입문 - 엑셀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2) 연습 문제 (0) | 2024.04.02 |
7-2 엑셀을 사용한 데이터 처리 예 (0) | 2024.04.02 |
7-1 엑셀 연산자의 활용 (0) | 2024.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