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통대/컴퓨터의 이해

[컴퓨터의 이해] 12-2 해킹

by 꿈꾸는 몽나 2024. 5. 8.
728x90

1. 해킹 

: 1950년대 말 미국 MIT 동아리 모임에서 처음 사용된 '해크(hack)'에서 유래

*해크(hack) : 작업과정 그 자체에서 느껴지는 순수한 즐거움

 

: 일부 사람들의 악의적인 행동이 늘어나면서 '다른 컴퓨터 시스템에 파괴적인 계획을 가지고 침입하는 행위'라는 부정적 의미를 지니게 됨

*크래킹(cracking)

 

: 의도에 상관없이 다른 컴퓨터에 침입하는 모든 행위

: 정보통신망을 통해 타인의 컴퓨터 시스템에 접근권한 없이 무단 침입하여 범죄행위를 저지르는 것

 

 

 

 

2. 해킹의 방법

-백도어

: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시스템에 들어갈 수 있을 만큼 허술한 부분

: 시스템 점검을 위해 시스템 관리자가 일부러 열어놓은 보안이 제거된 비밀통로

: 침입사실 은폐, 흔적이 남지 않음

 

-스니핑

: sniff -> 코를 킁킁거리다, 냄새를 맡다

: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는 다른 사람들의 패킷을 엿보며 계정(ID)와 패스워드를 알아내려는 행위

*스니퍼 : 통신 중의 패킷을 가로채어 네트워크의 상태를 확인하는 프로그램

 

-스푸핑

: spoof -> 속이다, 패러디하다, 이메일을 도용하다

: 해커가 어떤 호스트의 IP주소나 이메일 주소를 바꾸어 일반 사용자의 권한을 획득한 뒤 정보를 빼가는 해킹

(예: 가짜 웹사이트 개설)

 

-서비스 거부(DoS) 공격

: 서버가 처리할 수 있는 능력 이상의 서비스를 요구하여 다른 서비스를 정지시키거나 시스템을 다운시키는 공격

: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

-> 많은 수의 컴퓨터(좀비 서버)에 DoS 공격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목표 사이트를 집중적으로 공격함으로써 성능 저하 및 기능 마비를 일으키는 공격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