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형
: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자료의 형태
: 상수와 변수로 구분하여 사용
: 프로그램에서 자료(data)처리를 위해서는 자료의 생성과 저장, 처리과정이 필요
: C프로그램은 수많은 명령어와 자료들로 구성. 이들 자료의 정확한 처리와 효율적인 활용이 필요
상수
: 항상 고정된 값을 갖는 자료
: 값이 한번 정해지면 프로그램 도중 그 값을 변경할 수 없는 수
ex) 정수형 상수, 실수형 상수, 문자형 상수, 문자열 상수
정수형 상수
: 10진수, 8진수, 16진수로 표현
실수형 상수
: 부동소수점 형 상수
: double형을 기본 자료형으로 사용
문자형 상수
: 단일 인용부호(' ')로 묶여 있는 1개의 영문자나 숫자문자
: 내부적으로는 해당문자의 ASCll 코드값이 사용
ex) A는 내부적으로 65(ASCll 코드값)가 사용된다.
*Excape 문자 : 키보드에 나타나 있지 않은 문자
문자열 상수
: 이중 인용부호(" ")로 묶여 있는 복수개의 영문자나 숫자
: 기억공간에 보관될 때는 문자열 끝에 null 문자(\0)가 추가
ex) "SEOUL KOREA"의 기억공간 보관 형태. 총 12개의 기억공간 사용.
변수
: 변할 수 있는 값
: 프로그램에서 변수는 프로그램 실행 도중 변할 수 있는 값이 저장되는 기억공간을 의미
ex) i=10;에서 i는 변수(명)이고, 10이란 값을 i라는 이름으로 정의된 기억공간에 저장한다는 의미
: 이러한 변수 속에 들어가는 값은 수시로 변경될 수 있다.
: 따라서 변수는 사용 전에 반드시 선언하여 컴파일러가 기억공간에서 일정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함.
변수의 특징
: 모든 변수는 이름이 있다.(변수명)
: 모든 변수는 정해진 자료형이 있다.
: 모든 변수는 할당된 값을 갖는다.
변수명의 정의 규칙
: 모든 변수는 사용되기 전에 선언되어야 한다.
: 변수명은 반드시 영문자나 밑줄(_)로 시작해야 한다.
: 변수명은 중간에 숫자, 밑줄(_)을 섞어서 명명할 수 있다.
: 변수명은 중간에 밑줄(_) 이외의 특수문자($, #, ?, ...)를 섞어서 명명할 수 없다.
: 변수명은 대, 소문자를 구별하여 사용한다.
: 변수명으로 예약어들은 사용할 수 없다.
변수의 사용 예)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 b; // 정수형 변수 a, b를 선언
a=100; // 변수 a에 100을 대입
b=50; // 변수 b에 50을 대입
printf("a=%d, b=%d \n", a, b); // 변수 a, b 값을 출력
}
'방통대 > C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2 변수 선언 (1) | 2024.02.26 |
---|---|
2-2-1 자료형 (0) | 2024.02.26 |
1-4 에러와 경고 (0) | 2024.02.20 |
1-3-2 C프로그램의 구성 요소 (0) | 2024.02.20 |
1-3-1 C프로그램의 기본 구조 (0) | 2024.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