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통대/데이터정보처리

2-3 데이터의 입력

by 꿈꾸는 몽나 2024. 2. 27.
728x90

 

부호화(coding, 코딩)

: 수집된 설문지의 응답결과나 관측결과 등을 통계적 분석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원칙에 따라 각 응답에 숫자를 부여하는 과정

: 연속형 변수는 관측된 값이 숫자이기 때문에 그대로 입력 가능

: 여러 사람이 부호화 작업에 참여할 때는 부호화의 일관성이 유지되도록 부호화 지침서를 만들어 사용함

 

 

데이터 코딩 설계

: 조사/실험을 통해서 얻은 데이터를 입력할 때 어떻게 입력해야 더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지를 구상하는 것

 

ex) 지방자치제도가 지역발전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표본 조사를 실시하는 사례

1, 4번문항 : 순서척도

2, 5번문항 : 명목척도

 

설문지에 대한 부호화 지침이다.

부호화 지침서는 한글, 스프레드시트 등의 파일로 만들 수 있다.

 

 

텍스트 파일

: ASCll 코드형식으로 저장된 파일로 아스키 파일이라고도 함

: 한글 2018에서 일정한 양식으로 데이터 입력 후, 파일 -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하고, 파일 형식을 '텍스트 파일'로 저장

: 자유형식과 고정형식 구분

-자유형식 : 변수와 변수 구분은 공란으로 구분

-고정형식 : 각 변수가 위치할 열(칼럼)을 정한 후 입력

 

자유형식과 고정형식의 예시. 좌측이 자유형식, 우측이 고정형식이다.

 

 

 

 

스프레드시트나 데이터베이스 파일

: 엑셀 등에서 간편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함

: 열은 변수를 나타내고, 행은 케이스를 나타냄

 

 

 

SPSS에서 데이터 입력

: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텍스트 파일, 엑셀 파일 등을 읽을 수 있음

 

 

 

SAS에서 데이터 입력

: SAS 편집기에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거나 외부 입력 파일을 읽어 옴

 

 

 

S-link에서 데이터 입력

: 직접 S-link 워크시트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외부의 텍스트 파일이나 엑셀 파일을 읽을 수 있음

 

728x90

'방통대 > 데이터정보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 국가 통계 정보  (0) 2024.03.05
2-4 데이터의 점검  (2) 2024.02.27
2-2 측정의 수준과 데이터 종류  (0) 2024.02.27
2-1 데이터(data)  (0) 2024.02.27
1-7 R Studio 설치  (0) 2024.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