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통대/파이썬

2-2 하드웨어의 이해

by 꿈꾸는 몽나 2024. 2. 29.
728x90

 

입력장치

: 명령과 데이터를 컴퓨터에 전달하는 장치

: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2진수 형태로 변환

ex)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터치스크린, 특수 입력장치(마이오, 립 모션)

 

 

 

출력장치

: 정보 처리 결과를 인간이 인식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내보내는 장치

-> 2진수 형태의 데이터를 문자, 숫자, 음성, 영상 등의 형태로 변환

ex) 모니터, 스피커, 프린터, 초 지향성 스피커, 3D 프린터, 특수 출력 장치(HUD(AR), HMD(VR))

 

 

 

기억(저장) 장치

: 명령과 데이터를 기억(저장)하는 하드웨어

: 역할에 따라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로 구분

ex) 주기억장치(ROM, RAM), 보조기억장치(플로피디스크, 자기디스크, 광학디스크, 플래시 드라이브), 특수 기억장치(SSD : RAM을 이용한 저장장치, 빠른 속도, 외부 충격에 강함, 적은 전력소모가 가능)

항목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접근속도 빠름 느림
제조단가 높음 낮음
용량 작음
전원 차단 시  ROM : 기억내용 보존
RAM : 모든 내용 초기화
기억내용 보존

 

 

 

 

제어와 연산 장치

: 명령어와 데이터를 읽고 데이터를 연산 또는 처리하는 장치

: 현대의 컴퓨터는 제어장치와 연산장치가 별도로 구분되어 있지 않다.(CPU)

: CPU는 연산 논리 유닛, 제어 유닛, 레시즈터를 가지고 있다.

 

*레지스터 : 고속으로 동작하는 저장장치. CPU 내부에서 초고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어냄. 메모리나 주기억장치보다 훨씬 빠르다.

*제어 유닛 : 레지스터의 명령을 읽고 연산 논리 유닛에 명령을 내린다.

*연산 논리 유닛 : 제어 유닛의 명령에 따라 레지스터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와 처리 후 레지스터에 저장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