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통대/컴퓨터의 이해

4-4 정보의 출력

by 꿈꾸는 몽나 2024. 3. 13.
728x90

 

출력 방법에 따른 출력장치 분류

 

 

 

-디스플레이 모니터

->특징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출력 장치

: 텔레비전과 같은 방식으로 정보를 출력함

: 컴퓨터와 대화하듯 사용자의 입력에 반응하여 출력되는 정보를 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

*초기 : CRT 모니터

*현재 : LCD, OLED등의 평판형 모니터가 주로 사용됨

 

->출력 방식

:가로와 세로로 격자 형태로 촘촘히 나열된 점(픽셀 또는 화소라고 부름)들을 여러 가지 색과 밝기로 출력하는 래스터 방식

*화면비율 : 4:3 -> 16:9

*화면의 해상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 유연하게 휘거나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 전자종이나 OLED를 활용

 

 

 

 

프린터

-충격인쇄 : 종이, 리본, 글자를 함께 부딪치게 하여 리본의 잉크를 종이에 찍어 냄

*데이지 휠 프린터,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라인 프린터 등

-비충격인쇄 : 충격을 가하지 않고도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

*레이저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감열식 프린터 등

 

 

 

 

기타 컴퓨터 출력장치

-플로터

->선 그리기 형태의 그림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

->펜 플로터 : 다양한 색의 펜과 원통 또는 평면 종이판을 사용함

-> 현재 : 고품질 출력을 할 수 있는 잉크젯 방식의 광폭 프린터를 이용하여 대형 출력물을 만듦

 

 

-비디오 프로젝터

: 스크린에 슬라이드나 동영상 같은 영상 출력을 투사하는 출력장치

: 큰 화면을 출력할 수 있어 회의실, 강의용, 홈시어터용으로 많이 사용됨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 작은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을 두 눈에 전달할 수 있도록 머리에 쓰는 디스플레이 장치

: 3차원 입체 장면으로 가상현실 환경을 보여 주거나 실세계의 시야에 컴퓨터가 생성한 정보를 겹쳐서 보여 줌

 

 

-3차원 프린터

: 컴퓨터를 이용하여 설계한 3차원 입체 모델을 실제 물체로 제작하는 장치

*절삭형 : 컴퓨터 수치제어 공작기계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재료를 깍아 원하는 물체를 만드는 방식

*적층형 : 석고나 나일론 등의 가루나 플라스틱 액체나 플라스틱 실과 같은 재료를 미세한 단위로 한 층씩 쌓아 올려 원하는 물체를 만드는 방식

 

: 제품의 제작 과정

모델링 -> 프린팅 -> 마무리

 

728x90

'방통대 > 컴퓨터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4강. 컴퓨터의 이해 - 컴퓨터의 입출력  (0) 2024.03.13
4-5 입출력의 미래  (0) 2024.03.13
4-3 입력 데이터 편집  (0) 2024.03.13
4-2 데이터 입력  (0) 2024.03.13
4-1 컴퓨터와 데이터 입력  (0) 2024.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