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방통대299

[데이터정보처리] 12-4 그래프 그리기 -막대그림 및 원그림barplot : 막대그림pie : 원그림   -성별 구분 교육 변수의 막대그림    -히스토그램, 줄기-잎 그림, 상자그림hist : 히스토그램, nclass = 4 : 4개의 등급으로 나누어라.stem : 줄기-잎 그림,|앞의 숫자 : 100을 의미한다. |뒤의 숫자 10의 자릿수를 의미한다.100, 150, 170, 200, 220, 220, 290, ...par : 한 화면에 2개의 그림. c(1, 2) : 행 1개, 열 2개factor : 범주형 변수로 인식시킨다.    -> 줄기-잎 그림 : 분포의 대략적인 형태를 살표보기 위하여 작성되는 그래프로 군집의 존재여부, 집중도가 높은 구간, 대칭성의 여부, 자료의 범위 및 산포, 특이값의 존재 여부 등을 파악하는데 이용됨. sc.. 2024. 5. 7.
[데이터정보처리] 12-3 기술통계량 구하기 -변수 월급여의 평균 및 표준편차 구하기names(ex8) : 변수 이름 출력mean(ex8$salary) : ex8의 salary변수의 평균 출력sd : 표준편차summary : 다섯수치의 요약, 평균값 등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성별과 교육정도별로 월급여의 평균 및 표준편차 구하기tapply(ex8$salary, ex8$sex, mean) : 성별에 따른 월급여의 평균 출력 rownames : tapply  구분이 1, 2이니까 여기에 name을 붙여준다.    -성별과 교육정도의 빈도표 및 분할표 2024. 5. 7.
[데이터정보처리] 12-2 자료읽기 -설문지  -텍스트 자료 읽기   -R 실행      -엑셀 자료 읽기   -R 으로 엑셀파일 읽기 2024. 5. 7.
[데이터정보처리] 12-1 R R-통계 소프트웨어 시스템 :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다양한 통계적 분석과 그래프 등을 구현 할 수 있는 통계시스템.-대화형 언어 : 언어가 입력된 즉시 시행이 됨.-객체지향 시스템: R은 객체를 다룰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 데이터, 변수, 행렬 등은 모두 객체이며, 객체는 연산자 "    R의 기능-자료처리기능 : 자료의 구성, 소팅, 결합 등이 프로그램 처리로 쉽게 이루어짐.-자료분석 기능 :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통계분석 함수 및 분석 결과 제공 등 다양함.-언어기능 : 함수문을 쉽게 작성할 수 있으며, C 언어 및 FORTRAN 언어 등과 인터페이스가 가능-그래픽스 기능 : 대화형 그래픽스에 의한 자료분석의 기능 및 분석결과의 그래픽스 처리 기능이 뛰어남 2024. 5. 7.
[C] 12-5 공용체의 사용 공용체의 사용: 공용체의 멤버 중에서 자료크기(byte 수)가 가장 큰 멤버에 대해서만 기억공간이 할당되고,: 기억 공간의 시작 위치부터 각 부분을 다른 멤버가 공용으로 사용    공용체의 기억공간 표현 예    공용체 변수의 참조 예     공용체 변수의 기억공간 사용 예  예시) 2024. 5. 6.
[C] 12-4 공용체의 개념 공용체: 동일한 기억장소에 여러 유형의 자료를 저장하기 위해서 프로그래머가 선언한 자료형: 고용체 안에 포함된 자료들이 같은 기억장소를 공유하여 사용: 사용될 자료의 자료형이 유동적일 경우 기억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    공용체의 예: 공용체의 멤버들이 완전히 다른 자료형을 가질 때 기억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사용 예) 급여관리 프로그램에서-원화로 월급을 지급받는 사람 : 정수형으로 처리-달러로 월급을 지급받는 사람 : 실수형으로 처리-> 이러한 경우, 공용체를 사용하면 필요에 따라 메모리의 자료형을 선택해서 값을 저장 가능    공용체의 정의-형식 -예시    공용체 변수의 선언-형식union 공용체명 변수명; -사용 예union var abc;    공용체 정의와 변수 선언 예    .. 2024. 5. 6.
[C] 12-3 cf) 구조체의 비트필드 구조체의 비트필드(bit field): 주기억장치의 기억공간을 byte 단위가 아닌 bit  단위로 사용-프로그램 시 bit 단위의 연산이 필요할 경우 int형 변수를 사용-이때 int형은 4byte(32bit)이므로 1bit를 제외한 31 bit의 기억공간이 낭비 구조체의 비트필드를 사용하면-기억공간을 절약-더욱 융통성있는 데이터 구조체를 만들 수 있다.    구조체 비트필드의 정의    구조체 비트필드의 선언 예와 기억공간 구조   구조체 비트필드의 참조 예  예시)   구조체 비트필드의 기억공간 구조 2024. 5. 6.
[C] 12-2 typedef typedef: 이미 존재하는 자료형에 새로운 이름을 붙이기 위한 키워드-> 간단하거나 의미있는 이름으로 바꿀 수 있어 프로그램 이해가 쉽다-> 구조체 형을 선언하는데 많이 사용 -형식typedef 기존자료형 새로운자료형이름; -예시typedef int INT;   typedef의 사용  예시)    typedef을 이용한 구조체 표현의 다른 방법  예시2) 2024. 5. 6.
[C] 12-1 함수와 구조체 함수에서의 구조체 사용1) 구조체를 함수의 매개변수로 사용: 일반 변수를 함수의 매개변수로 사용하는 것과 동일: 매개변수가 구조체인 경우 함수의 형식매개변수를 구조체로 선언: 해당 구조체 전체가 복사되기 때문에 편리: 구조체 전체가 복사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기억공간의 낭비가 심하다. 예시)    함수의 원형 정의에 대한 설명  2) 구조체 포인터를 함수의 매개변수로 사용 : 일반적으로 구조체 포인터를 함수의 매개변수로 사용: 구조체를 복사하지 않기 때문에 실행속도가 향상되고, 기억공간의 사용효율도 좋다. 예시) 2024. 5. 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