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방통대299 [Java] 10강. java.nio 패키지의 활용 연습 문제 문제1. Path 인터페이스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1. java.io.File 클래스를 대체할 수 있다.2. 파일시스템에 존재하는 파일 또는 디렉터리의 경로를 표현한다.3. 경로의 생성, 경로의 조작/비교, 경로의 요소를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한다.4. 파일 내용의 읽기와 쓰기 기능을 제공한다. 정답 : 4풀이 : 파일 경로에 대한 기능을 제공한다.(경로의 생성, 경로의 비교, 경로의 정보 추출, 경로의 요소 조작 기능 등) 문제2. FileChannel 클래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인가?1. java.io 패키지의 파일 관련 스트림 클래스를 대체하기 위한 클래스이다.2. FileChannel.open(path)으로 객체 생성을 하면 해당 파일을 읽기용으로 열게 된다.3. 파일 .. 2024. 4. 26. [Java] 10-4 WatchService 인터페이스 1. WatchService 인터페이스-WatchService: 어떤 대상을 정한 후 변화나 이벤트가 생기는 것을 감시(watch): 감시 대상은 Watchable 객체로, register() 메소드를 사용하여 WatchService 객체에 감시 대상으로 등록됨: 디렉터리를 표현하는 Path 객체의 변화를 감지*디렉터리 내의 파일 또는 서브 디렉터리의 생성, 삭제, 수정: java.nio.file 패키지에 존재 -감시자의 생성: 먼저 WatchService 객체를 생성함*WatchService ws = FileSystems.getDefault().newWatchService(); 2. 감시 절차-감시 서비스를 구현하는 절차: 감시 대상 디렉터리를 WatchService에 등록*Path path = P.. 2024. 4. 26. [Java] 10-3 FileChannel 클래스 1. FileChannel 클래스: java.io 패키지의 파일 관련 입출력 스트림을 대체*java.nio.channels 패키지에 존재*파일에 대한 읽기와 쓰기를 모두 제공*멀티 스레드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 : 읽기와 쓰기 메소드 : 객체 생성 방법 2. FileChannel 클래스로 파일 만들기 2024. 4. 26. [Java] 10-2 버퍼 1. 버퍼: 데이터 생산자로부터 프로그램으로 데이터가 입력될 때,입력 속도와 처리 속도의 차이로 인해 지연이 발생할 수 있음*프로그램으로부터 데이터 소비자로 데이터가 출력될 때도 마찬가지 : 버퍼를 사용하면 지연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프로그램은 버퍼로부터 데이터를 읽음(입력)*프로그램은 버퍼로 데이터를 출력함 2. Buffer 클래스: 버퍼는 기본형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보관소*채널 입출력에 사용되며 버퍼 단위로 입출력할 수 있음 : Buffer는 추상 클래스로 java.nio 패키지에 존재*자식 클래스에서 구현해야 할 공통의 메소드를 선언 : 실제 사용을 위해 boolean을 제외한 모든 기본형에 대해 Buffer의 서브 클래스가 존재함 3. 버퍼의 생성: 버퍼의 생성 방법 -버퍼의 속성 .. 2024. 4. 26. [Java] 10-1 java.nio 패키지 1. java.nio 패키지: NIO는 'New Input Output의 약자'-> 기존 java.io 패키지를 개선한 새로운 입출력 패키지: JDK 7부터는 파일 I/O를 개선한 NIO2도 등장-> java.nio와 그것의 서브 패키지 형태*java.nio.file, java.nio.channels, java.nio.charset 등-> File 클래스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Path-> Files의 static 메소드를 통한 파일/디렉터리의 조작, 파일의 읽기/쓰기-> 파일 입력과 파일 출력이 모두 가능한 FileChannel 클래스*버퍼링 기능, 멀티스레드에 안전-> 비동기식 파일 입출력을 위한 AsynchronousFileChannel 클래스*non-blocking 방식 파일 입출력 2... 2024. 4. 26. [파이썬] 10강. 객체지향 연습 문제 문제1. 다음 중 객체지향 패러다임의 특징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1. 추상화2. 캡슐화3. 상속4. 개방화 정답 : 4풀이 : 객체지향 패러다임의 특징은 추상화, 캡슐화, 상속, 다형성이다. 문제2. 다음 코드의 빈 칸에 공통으로 들어가야 하는 것은?1. 'self'2. self3. access4. mutate 정답 : 2풀이 : self 매개변수는 객체 자신을 참조하여 클래스 정의에 포함된 멤버에 접근 시 사용한다. 문제3.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는?1. " I love python"2. "I LOVE PYTHON"3. "I LIVE PYTHIN"4. "I live pythin" 정답 : 3풀이 : o를 i로 바꾸고 대문자로 바꾸어서 출력하라. 2024. 4. 25. [파이썬] 10-3 객체지향의 활용 str 메소드 데이터 필드 감추기-데이터 은닉: 데이터 필드의 직접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직접적 접근을 차단: public과 다른 private 데이터 필드로 정의 -private 데이터 필드: 클래스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 앞 두 밑줄(__)로 정의self.__r 접근자와 변경자: private으로 정의된 데이터 필드는 객체 외부에서 접근 불가능: private 데이터 필드에 접근하는 메소드-> 접근자 : 데이터 필드 반환-> 변경자 : 데이터 필드 설정 원뿔 클래스 개선: 멤버 __r과 __h에 대한 접근자와 변경자 정의 class pCone : def __init__(self, radius = 20, height = 30): if radius > 0 and.. 2024. 4. 25. [파이썬] 10-2 클래스와 인스턴스 객체와 인스턴스-구문 형식클래스 이름 (초기자 파라미터)*값 저장, 변형 등이 가능 : 클래스의 생성자를 통해 클래스의 인스턴스 생성: 객체와 인스턴스는 동일 개념: 클래스의 생성자는 클래스의 이름과 동일: 클래스의 이름과 초기자의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생성자를 호출 객체의 생성 과정Cone(20, 30)*초기자에 있었던 반지름과 높이값 1. 클래스에 해당하는 객체 생성2. __init__() 호출 객체의 사용: 객체의 데이터 필드 접근 및 메소드 호출-> 객체 멤버 접근 연산자(.) 사용 : 객체 접근객체 참조변수.데이터 필드객체 참조변수.메소드(파라미터)*생성자를 통해 만들어진 객체에 접근할 수 있는 지칭 도구가 필요-> 객체 참조변수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객체 참조변수 = 클래스 이름 (초기자.. 2024. 4. 25. [파이썬] 10-1 객체지향 객체지향: 객체와 객체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을 쉽게 만들어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 객체지향 패러다임의 특징-추상화 : 공통의 속성이나 기능을 도출-캡슐화 :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의 연산을 결합-상속 : 상위 개념의 특징이 하위 개념에 전달-다형성 : 유사 객체의 사용성을 그대로 유지 객체와 클래스: 객체는 추상화와 캡슐화의 결과: 실세계의 사물에 대한 상태(데이터)와 연산(메소드)을 표현한 단위-> 멤버(데이터 필드, 메소드)는 클래스에 의해 결정 클래스 정의-구문형식class 클래스 이름: 초기자 정의 메소드 정의 -메소드: 객체에 대한 행동(연산)을 정의: 함수의 정의 및 사용 방법과 동일 -초기자: 객체의 .. 2024. 4. 25. 이전 1 ··· 3 4 5 6 7 8 9 ··· 3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