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변수4

[HTML5] 10-2 변수, 연산자, 문장, 함수 변수: 프로그램에서 다루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 -변수 선언: 데이터를 저장할 적절한 크기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 변수가 가질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자료형과각 변수를 구별하기 위한 이름에 해당하는 식별자가 필요하다.   식별자: 변수 이름이나 함수의 이름으로 사용하기 위해 프로그래머가 만든 단어 -지정 규칙필수): 첫 글자는 반드시 영문자, '_', 또는 '$'로 시작-> 두 번째 글자부터는 영문자, 숫자, '_', '$'의 조합으로 구성: 대소문자 구분: 키워드 사용 불가 -> let, if, for, while 등 권장): 의미를 내포한 충분한 길이의 단어 사용: 낙타체 표기 -> camelCaseNotation 예시): 주석이 있는 것은 식별자가 될 수 없는 예시이다.   자료형.. 2024. 4. 28.
4. 파이썬 - 파이썬 시작하기 연습 문제 문제1. 다음과 같은 실행 결과를 얻기 위한 파이썬 코드로 올바른 것은? 1. print("Computer science is the best") print("Our goal is to predict the future") 2. print("Computer science is the best") print("Our goal is to predict the future") 3. print(Computer science is the best) print(Our goal is to predict the future) 4. "Computer science is the best" "Our goal is to predict the future" 정답 : 2 풀이 : 문자열을 출력할 때는 문자열을 인용부호로 감싸야 .. 2024. 3. 15.
4-4 데이터 저장 원뿔의 부피&겉넓이 계산 프로그램 다음 수식을 코드화한다면? 변수 ->명령형 패러다임 언어의 특징 : 처리할 데이터와 처리된 결과를 임시적 저장 : 변수의 값을 변경하는 할당연산자(=)를 이용 red = 20 오른쪽(20)에 있는 값을 왼쪽(red)에 집어 넣어라 // 여기서 red는 지속되는 대상, 20은 임시적인 대상이다. 값의 할당 :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처리되는 값이 어떤 행위(입력, 연산 등)에 따라 그 값이 변할 수 있는 메모리 내의 저장 공간 지정 : 식별자, 저장 공간, 값으로 구성 // 20이 저장된 칸은 rad라는 이름으로 접근 가능하다. 식별자 : 프로그램 내부에 정의된 객체(변수, 함수 등)의 이름 -> 문자, 숫자, 밑줄로 구성 -> 문자 또는 밑줄로만 시작 가능 -> 예.. 2024. 3. 14.
2-1 상수와 변수 자료형 :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자료의 형태 : 상수와 변수로 구분하여 사용 : 프로그램에서 자료(data)처리를 위해서는 자료의 생성과 저장, 처리과정이 필요 : C프로그램은 수많은 명령어와 자료들로 구성. 이들 자료의 정확한 처리와 효율적인 활용이 필요 상수 : 항상 고정된 값을 갖는 자료 : 값이 한번 정해지면 프로그램 도중 그 값을 변경할 수 없는 수 ex) 정수형 상수, 실수형 상수, 문자형 상수, 문자열 상수 정수형 상수 : 10진수, 8진수, 16진수로 표현 실수형 상수 : 부동소수점 형 상수 : double형을 기본 자료형으로 사용 문자형 상수 : 단일 인용부호(' ')로 묶여 있는 1개의 영문자나 숫자문자 : 내부적으로는 해당문자의 ASCll 코드값이 사용 ex) A는 내부적으로 65(A.. 2024. 2. 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