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C39

[C] 8-2 다차원 배열 2차원 배열 선언 -형식 : 자료형 배열명[행의 수][열의 수] ex) int a[3][4] -의미 : 2차원 배열로서, 배열명은 a이고 3행 4열로 된 12개의 요소를 가진 정수형 배열 2차원 배열의 선언과 초기화 1) 2) 3) 2차원 배열의 기억공간 표현 ex) 3차원 배열 선언 -형식: 자료형 배열명[면의 수][행의 수][열의 수] ex) int a[2][3][4] -의미: 3차원 배열로서, 배열명은 a이고 2면 3행 4열로 된 24개의 요소를 가진 정수형 배열 3차원 배열의 초기화와 기억공간 표현 2024. 4. 8.
[C] 8-1 1차원 배열 배열 : 동일한 자료형을 갖는 자료들의 리스트 : 배열의 각 요소는 하나의 변수로 취급 : 배열은 배열명과 첨자로 구분 배열의 선언 형태 : 1차원 배열 : 2차원 배열 : 3차원 배열 1차원 배열 : 배열의 첨자가 하나만 있는 배열 : 첨자의 개수는 배열 전체의 구성요소의 개수를 의미 : 배열의 각 요소는 배열명과 첨자로 구분 -> 첨자는 0부터 시작 : 배열의 각 요소는 배열명과 첨자로 구분 -> 자료형과 기억 클래스는 갖는다. 1차원 배열 선언 -형식 : 자료형 배열명[개수] ex) int a[10] -의미 : 1차원 배열로서, 배열명은 a이고 배열의 크기는 10이며, 정수값이 기억됨 1차원 배열의 초기화 : 배열을 선언하면 기억공간을 초기화 해야 함 -초기화 방법 1) 배열선언 후 초기값 할당 /.. 2024. 4. 8.
7-2 기억클래스 기억클래스 : 변수를 기억공간의 특정영역에 할당하는 방법 : 즉, 각 변수의 유효범위와 존속기간을 설정 -변수의 사용위치에 따라 : 지역변수, 전역변수 -변수의 존속기간에 따라 : 자동변수, 정적변수, 외부변수, 레지스터변수 -지역변수 : 특정 범위 내에서만 통용되는 변수 : 선언된 블록이나 함수 내에서만 사용 가능 : 함수에서 사용되는 매개 변수도 해당 - 전역변수 : 함수 밖이나 외부파일에서 선언되어 프로그램 전체에 걸쳐 사용될 수 있는 변수 * 지역변수와 전역변수의 유효범위 // 변수 x, y는 프로그램 전체에서 사용 가능한 전역변수(함수외부에서 선언됨) // 변수 m, n은 해당 함수 내에서만 사용 가능한 지역 변수 지역변수의 사용 예시) 출력) main i = 10 fcn1 i = 20 main.. 2024. 4. 1.
7-1 매개변수 사이의 자료 전달 값에 의한 자료전달 : 기본적인 자료전달 방법 : 실 매개변수와 형식 매개변수 사이에 값의 전달 : 호출한 함수의 실행이 끝난 다음 전달받은 값을 되돌려 받지는 못한다. 형식) ex) swap(a, b); : 함수 호출 int temp; temp=x; x=y; y=temp; : 두 변수 a와 b의 값을 서로 바꿈 출력) 호출전 : a=3, b=5 함수내 : x=5, y=3 호출후 : a=3, b=5 자료전달 과정) 참조에 의한 자료전달 : 호출함수와 피 호출함수의 매개변수 값을 서로 교환할 수 있는 자료전달 방법 : 값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실 매개변수의 값이 들어있는 주소 값이 전달된다. 형식) & : 주소연산자 * : 내용 ex) swap(&a, &b); // 주소 값을 전달하기 위해 실 매개변수 .. 2024. 4. 1.
6-3 사용자 정의 함수 C 프로그램에서의 함수 : main()함수 안에 표준함수를 사용하는 형태 : 그러나 동일 블록 내의 프로그램 길이가 길어지면 전체 프로그램은 복잡해지고 이해하기가 어려워진다. : 따라서 전체 프로그램을 짧은 길이의 단위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정의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작성과 이해를 쉽게 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 정의 함수 : 사용자가 단위 프로그램을 함수로 정의하여 사용 -함수 정의의 구조 ex) *반환 자료형 : 함수에서 계산된 결과값을 호출한 함수에 되돌려 줄 때의 자료형 : 사용될 수 있는 자료형은 C언어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자료형 : 생략이 가능하며, 생략할 경우 자료형은 int형으로 간주 : 반환값이 없는 함수인 경우는 void형으로 선언 *함수명 : 변수명을 정하는 규칙과 동일한 방식으로 함수명을.. 2024. 3. 25.
6-2 표준 함수 1. C언어에서의 함수 -표준함수 : C언어 자체에서 제공하는 함수 -> 표준함수의 원형은 헤더파일에 정의 ex) printf(), scanf()함수의 원형 *헤더파일에 정의되어 있음(stdio.h) *표준함수를 사용하려면 stdio.h를 #include ex2) sin(), cos() 함수의 원형 *헤더파일에 정의되어 있음(math.h) *표준함수를 사용하려면 math.h를 #include -> 표준함수의 실체는 라이브러리 파일에 수록 -> 표준함수를 사용하려면 원형이 선언되어 있는 헤더파일을 #include 시켜 주어야 한다. C언어에서의 표준함수 예) 입력1) // #include // 입출력 함수를 처리하기 위한 헤더파일 // #include // 수학 함수를 처리하기 위한 헤더파일 // abs(.. 2024. 3. 25.
5-3 기타 제어문 기타 제어문의 종류 -break문 : break문은 반복 명령의 실행 도중에 강제적으로 반복문을 빠져 나오는데 사용 -> for루프, while루프, do~while루프, switch 블록 등을 강제로 종료시키고자 할 때 사용 : break문은 자신이 포함된 반복문만 빠져 나옴 ex) // num=0이면 while루프 종료 // break문을 사용해서 while루프의 괄호 바깥으로 빠져 나감. 출력) -continue문 : continue문은 루프 실행 중에 루프를 다시 실행하고자 할 때 사용 -> switch~case문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반복구조에만 국한되어 사용 : continue문은 그 루프의 선두로 제어를 옮겨 다음 반복을 실행 ex) // num이 0이 아닌 한 계속 반복하는 while 루프.. 2024. 3. 18.
5-2 반복 제어문 반복 제어문의 종류 -for문 -기능 : 주어진 조건이 만족되는 동안 루프문을 반복 수행한다. *for문의 처리 순서 ex) // 루프변수 i는 정수형이어야 함 // i값이 11이 되면 조건식이 거짓이 되어 루프를 빠져 나옴 출력) -다중 for문 *기능 : 주어진 조건이 만족되는 동안 루프문을 반복 수행한다. ex) 출력) // a는 외부 for문의 출력 결과 // b는 내부 for문의 출력 결과 -while문 *기능 : 주어진 조건이 만족되는 동안 루프문을 반복 수행한다. *while문의 사용 순서 ex) // while 루프(i 2024. 3. 18.
4-9 연산자 우선순위 연산자 우선순위 ex) z = x + y * 2 - ++x + (y + = 3) 1. 괄호 : (y + = 3) 2. 단항연산자 : ++x 3. 곱셈 : y * 2 4. 덧셈 : x + 5. z = 입력) // a+(b*c) // b+=2*c가 먼저 계산되고 a=b가 계산 // a=(a*(b=(c+5)))의 의미. c+5가 b에 저장되고 a*b가 a에 저장 출력) 2024. 3. 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