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C39

2-2-2 변수 선언 변수 선언 : 변수명과 변수가 가질 자료형을 지정하여 변수를 위한 기억공간을 할당하는 것 형식 : 자료형 변수명; 변수 선언 시 고려 사항 - 변수에 저장될 값의 크기(범위) : short int의 표현 범위는 -32768 ~ 32767. : 이 표현 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출력은 num1 = -32768, num2 = 32767로 출력이 잘못됨. -> 오류 발생 - 변수의 선언 위치 변수를 함수 외부에 선언한 경우 -> 전역변수로 선언, 프로그램 어디서나 사용 가능. 변수를 함수 내부에 선언한 예 -> int i;는지역 변수로 선언, main 함수 내에서만 사용 가능 -> int i, j;는 sub1 함수 내에서만 사용 가능, main함수 내의 변수 i와는 별개. : int a = 100;은 전역변수,.. 2024. 2. 26.
2-2-1 자료형 변수 : 자료를 저장할 기억공간을 확보하고 이 공간에 이름을 붙여준 것 변수 선언 : 확보된 기억공간에 이름을 부여하는 것 -> 이러한 변수 선언을 위해 자료형이 필요 자료형의 종류 정수형 : int, short, long, unsigned : 운영체제에 따라 표현범위가 다름 실수형 : float, double, long double : 기본형은 double형 문자형 : char, unsigned char : ASCll 코드를 사용하여 처리 : -128 ~ 127까지의 값을 표현 문자형 사용 예) char ch; // 문자형 변수 ch를 선언 int in; // 정수형 변수 in을 선언 ch = in = 'A'; // 실제로는 'A'의 ASCll 코드값 65가 사용되기 때문에 문자형과 정수형 변수 사용... 2024. 2. 26.
2-1 상수와 변수 자료형 :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자료의 형태 : 상수와 변수로 구분하여 사용 : 프로그램에서 자료(data)처리를 위해서는 자료의 생성과 저장, 처리과정이 필요 : C프로그램은 수많은 명령어와 자료들로 구성. 이들 자료의 정확한 처리와 효율적인 활용이 필요 상수 : 항상 고정된 값을 갖는 자료 : 값이 한번 정해지면 프로그램 도중 그 값을 변경할 수 없는 수 ex) 정수형 상수, 실수형 상수, 문자형 상수, 문자열 상수 정수형 상수 : 10진수, 8진수, 16진수로 표현 실수형 상수 : 부동소수점 형 상수 : double형을 기본 자료형으로 사용 문자형 상수 : 단일 인용부호(' ')로 묶여 있는 1개의 영문자나 숫자문자 : 내부적으로는 해당문자의 ASCll 코드값이 사용 ex) A는 내부적으로 65(A.. 2024. 2. 26.
728x90